티스토리 뷰

코로나 이후 우리 생활에 다가온 화상강의와 화상회의 여러분도 혹시 해본 적 있으신가요?

기본적으로 노트북이 있으면 카메라와 마이크가 일체형으로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습니다.

하지만 PC에서 화상강의나 회의를 할 경우에는 웹캠이 필요합니다.

 

그럼 화상강의·회의를 할 때 필요한 준비물에 대해서 한번 알아볼까요?

   

ZOOM 화상강의·회의 한방에 준비하는 Tip

 

 

준비물

1. 웹캠

웹캠은 적게는 1만원대부터 10만원 이상 다양한 제품이 있습니다.

저는 저렴한 제품과 고가 제품을 다 사용해 봤는데요 두 제품의 가장 큰 차이는 카메라 해상도와 화질 그리고 마이크 성능과 내구도 차이가 있던 것 같습니다.

 

2. 솔루션 선택

웹캠을 선택했다면 이제 화상강의·회의 솔루션을 선택해야 합니다.

화상강의·회의 솔루션에는 ZOOM도 있고 Microsoft의 Meams 그리고 ZOOM과 가장 많이 사용되는 Cisco사의 Webex, Google의 Meet 등이 있습니다.

 

주변에서 사용하는 걸 보면 대부분이 ZOOM과 Webex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저 또한 직장에서 ZOOM을 사용하기 때문에 ZOOM으로 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렇게 모든 준비가 다 되었습니다.

학생이나 회의를 참여하는 참여자의 경우 핸드폰이나 PC 노트북을 통해서 접속을 하면 되고 회원가입 또한 선택사항입니다.

하지만 호스트(개설자)는 필수로 ZOOM계정이 필요합니다.

ZOOM 사이트 : https://zoom.us 

 

연결을 위한 하나의 플랫폼 | Zoom

비디오 미팅, 팀 채팅, VoIP 전화, 웹 세미나, 화이트보드, 컨텍 센터 및 이벤트를 포함한 Zoom의 신뢰할 수 있는 협업 도구를 사용하여 워크플로를 현대화하세요.

zoom.us

 

ZOOM 사이트에서 회원가입을 해줍니다.

화상강의·회의를 짧게 하는 경우에는 기본버전인 무료버전을 사용하셔도 됩니다.

ZOOM에서 제공하는 계정 라이선스별 비교표입니다.

ZOOM 가격 비교표

무료로 사용할 경우 시간은 40분, 참여자는 100명 제한 화이트보드 기능 제공이 있습니다.

이 정도면 사용해도 되는 경우에는 무료버전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PC에 ZOOM 클라이언트를 설치한 후 실행을 시켜줍니다.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요. 단순한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ZOOM 클라이언트 메뉴 설명

ZOOM 메뉴 사진

1. 새 회의

호스트로 새로운 회의를 개설할 때 사용합니다.

새 회의 아래 있는 작은 화살표를 선택해 보면 비디오(카메라)를 활성화시킬 것인지 체크하는 버튼이 있고, 개인 회의 ID(PMI)를 사용해서 개설할 것인지 체크하는 버튼이 있습니다.

개인 회의 ID로 체크를 해놓으면 추후에 새롭게 개설하는 강의·회의에서도 방 번호와 비밀번호가 동일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항상 같은 멤버와 진행을 하게 되면 이 기능을 체크하고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2. 참가

참가는 말 그대로 타인이 개설한 강의·회의에 참가할 때 사용하는 버튼입니다.

 

3. 예약

예약은 미리 강의·회의일정을 예약해 두고 개설해 놓은 상태에서 상대방에게 초대 URL 등을 배포할 수 있도록 하는 예약 기능입니다.

 

4. 화면공유

이 메뉴에서 제공하는 화면 공유는 저도 사용하지 않았지만 구조를 보면 개설되어 있는 회의방에 내 화면을 공유할 때 사용하는 버튼인 것 같습니다.

화면공유 버튼을 누르면 개설된 회의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어있고 내용을 입력하고 입장을 하게 되면 화면공유를 할 수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화면공유는 호스트 권한을 가지고 있어야 할 수 있기 때문에 호스트권한을 미리 받아야겠죠?

 

 

회의화면 설명

 

ZOOM 회의 화면 사진

다음은 회의를 개설해서 만든 화면입니다.

아래 메뉴를 보면 왼쪽부터

음소거 해제, 비디오 시작 버튼이 보입니다.

현재 상태는 제가 마이크를 음소거해놓고 비디오(카메라) 또한 꺼놓은 상태이기 때문에 이런 모습입니다.

해당 기능을 활성화해주면 PC에 연결된 마이크와 카메라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PC에 웹캠을 설치하면 웹캠의 마이크를 기본설정값으로 잡아주기 때문에 웹캠을 연결하시면 한 번에 해결이 될 것입니다.

만약 바로 연결이 안 된다고 하면 설정에서 바꿔주셔야 하는데요 이 기능은 아래에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보안

보안은 해당 화상강의·회의실의 보안설정을 하는 부분입니다.

회의잠금 기능을 사용해서 회의에 더 이상 접근을 못하게 할 것인지, 대기실을 사용해서 승인된 사용자만 접근을 하게 할 것인지, 프로필 사진을 보이지 않게 숨길 것인지, 그리고 참가자들에게 권한을 어느 정도 부여할 것인지를 체크할 수 있습니다.

 

2. 참가자

해당 강의·회의실에 접속한 참가자를 볼 수 있습니다.

이 창에서 참가자를 음소거하거나 권한을 부여할 수도 있습니다.

 

3. 채팅

채팅은 말 그대로 채팅창을 활성화하는 버튼입니다.

회의 창 오른쪽에 보면 채팅창이 보이시죠? 그 채팅창을 활성화하는 버튼입니다.

 

4. 화면공유

내 화면을 참가자에게 공유할 수 있는 공유버튼입니다.

화면공유를 할 때는 어떤 화면을 보여줄지 선택을 할 수 있는데요, PC모니터 화면을 보여줄지 열어놓은 문서나 폴더 슬라이드쇼를 보여줄 지 선택할 수 있으며 내 PC소리를 공유할 경우 화면공유를 눌러서 뜨는 창 아래 있는 소리 공유를 선택하면 내 PC에서 나오는 소리 또한 공유할 수 있습니다.

간혹 유튜브 영상이나 슬라이드에 포함된 영상을 공유하여 볼 때 이 소리 공유를 안 하게 되면 참가자는 소리를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설명을 하는데 상대방이 이해를 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이점 유의해 주세요!

 

5. 기록

기록은 내가 진행하는 강의·회의를 녹화하는 기능입니다.

기록은 기록버튼을 누른 순간부터 중지버튼을 누를 때까지 강의나 회의가 녹화됩니다.

 

6. 소회의실

이 기능은 무료 버전에는 제공을 하지 않는 기능인데요 참가자들을 소그룹으로 나누어 소그룹 활동을 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전체 회의를 진행하다 각 파트별 부서별 회의를 할 때 이 기능을 사용해서 그룹을 나누어주고 그 그룹끼리 회의를 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7. 반응

반응 기능은 이모티콘과 비슷한 기능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말을 하기 어렵거나 상대방에게 리액션을 하고 싶을 때 말이나 채팅 대신 반응에서 제공하는 액션으로  리액션을 할 수 있습니다.

 

8. 앱

ZOOM회의를 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앱을 다운로드하여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인데요. 저도 다른 앱을 받아서 사용해 본 적이 없기 때문에 어떤 앱들이 있는지는 한번 찾아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ㅎㅎ

 

9. 화이트보드

화이트보드는 판서를 할 때 사용하는 기능으로 강의나 회의를 진행하면서 판서를 통해 내용을 전달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이렇게 ZOOM 클라이언트 메뉴와 화상회의를 실행한 후 메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화상강의·회의를 진행하면서 필요한 설정에 대해서 정리하여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유익한 정보가 되었기를 바라며 저는 이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최근에 올라온 글